PLC, HMI

LS 터치스크린 XP-Builder ②RS232C 케이블 만들기 | 핀 배열부터 제작 방법까지 완벽 가이드

Tricky Sense 2025. 4. 1. 08:00
반응형

RS232C 케이블은 컴퓨터와 다양한 장비(PLC, CNC, 산업용 기기 등)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직렬 통신 케이블입니다. RS232C 표준은 비교적 오래된 통신 방식이지만, 산업 현장과 연구실에서 여전히 널리 사용됩니다.

RS232C 케이블은 단순히 구매할 수도 있지만, 특정 장비와의 맞춤형 연결을 위해 직접 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RS232C 케이블의 기본 개념, 핀 배열, 제작 방법, 테스트 방법까지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제작 방법이 급하신분들은 아래로 내려서 해당 포스팅의 3. 제작방법부터 읽어보시면 됩니다.

1. RS232C 케이블이란?

RS232C는 직렬 통신(Serial Communication) 방식으로, 1:1 방식의 데이터 전송을 제공합니다.

일반적으로 D-Sub 9핀(DB9) 또는 D-Sub 25핀(DB25) 커넥터를 사용합니다.

(1) RS232C의 특징

  • 전송 방식: 직렬 통신 (하나의 데이터 라인에서 순차적으로 데이터 전송)
  • 신호 전압: -12V ~ +12V (TTL 레벨과 다름)
  • 최대 전송 속도: 115.2kbps (일반적으로 9600bps 사용)
  • 최대 거리: 15m (신호 증폭기 사용 시 더 길게 연장 가능)
  • 전송 모드: 풀 듀플렉스 (Full Duplex, 송신과 수신 동시 가능)

 

2. RS232C 케이블 핀 배열 (DB9 & DB25)

RS232C 케이블은 두 가지 주된 형태(DB9, DB25)를 가지며, 장비에 따라 핀 배열이 달라집니다.

(1) DB9 커넥터 핀 배열

핀번호 기능 설명
1 DCD 데이터 캐리어 감지
2 RXD 데이터 수신 (Receive)
3 TXD 데이터 송신 (Transmit)
4 DTR 데이터 단말 준비
5 GND 그라운드 (공통 접지)
6 DSR 데이터 세트 준비
7 RTS 송신요청
8 CTS 송신가능
9 RI 링 인디게이터 (전화 수신 알림)

 

(2) DB25 커넥터

핀번호 기능 설명
2 TXD 데이터 송신
3 RXD 데이터 수신
4 RTS 송신 요청
5 CTS 송신 가능
6 DSR 데이터 세트 준비
7 GND 그라운드
8 DCD 데이터 캐리어 감지
20 DTR 데이터 단말 준비

※ 일반적으로 DB9을 DB25로 변환하는 어댑터도 많이 사용됩니다.

 

3. RS232C 케이블 만들기

RS232C 케이블을 제작하기 위해 필요한 도구와 절차를 알아보겠습니다.

(1) 준비물

  • D-Sub 9핀(DB9) 또는 25핀(DB25) 커넥터 (수/암 선택)
  • RS232C 통신용 케이블 (4~8가닥)
  • 솔더링 도구(인두, 납, 수축 튜브, 테스터기)
  • 핀 아웃 다이어그램(제작하려는 장비에 맞게 준비)


네이버쇼핑에서 D-SUB 9핀 암 으로 검색해보시면 납땜용 커넥터와 플라스틱 후드케이스를 찾으실 수 있습니다.

금액은 얼마 안해요 (단, 배송비가 더 비싸네요)

 

(2) 케이블 제작 과정

1. 설계 확인

연결하려는 장비의 RS232C 핀 배열을 확인합니다.

일반적인 연결 방식 표준 케이블(DB9-Female ↔ DB9-Male) 크로스 케이블 (Null Modem, TXD-RXD 교차 연결)

2. 커넥터 준비

 

LS산전의 HMI 터치스크린에 사용할 예정이라서 저는 암놈 커넥터를 준비하였습니다.

구멍마다 보시면 작게 1~9까지 숫자가 쓰여 있습니다.

뒷면에는 케이블을 납땜할 수 있도록 단자가 나와있어요

 

3. 케이블 절단 및 피복 제거

3C(세 가닥)이상의 케이블을 준비하고 필요한 길이만큼 자르고, 피복을 벗겨 내부 와이어를 노출시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TXD(송신), RXD(수신), GND(접지) 세 가닥만 연결하면 됩니다.

 

4. 핀 배선 연결

  • 솔더링(납땜) 방식: 내부 와이어를 DB9 또는 DB25 커넥터 핀에 직접 납땜합니다.
  • 크림프 방식: 별도의 핀 단자를 사용하여 케이블을 커넥터에 연결합니다.
  • 일반적인 연결 방식
DB9 (송신) DB9 (수신)
TXD (3) RXD (2)
RXD (2) TXD(3)
GND (5) GND (5)

 

인두기와 납을 이용하여 2번 3번 5번 구멍에 하나씩 납땜을 해줍니다.

피복을 벗긴 뒤 납으로 살짝 코팅만 해준 다음에

뒷면 구멍에 2,3,5 순서대로 한가닥씩 넣은뒤에 납땜을 해주면 됩니다.

납땜한 커넥터를 플라스틱 후드케이스를 씌워주면 더 사용이 편하실 거에요!

물론 케이스 없어도 사용은 가능합니다.

 

5. 절연 및 마감 솔더링이 완료되면, 절연 테이프 또는 수축 튜브를 사용하여 마감합니다.

케이블을 커넥터 하우징에 조립하여 단선 방지 및 보호. 테스트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각 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합니다.

실제 장비에 연결하여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지 확인합니다.

 

저는 이렇게 마감하였습니다. 수축튜브를 빼먹었네요. 있으신 분들은 튜브를 사용해주는 것이 더 안전합니다.

 

6. 반대편 압착터미널 마감하기

저는 커넥터는 LS산전 HMI 터치스크린의 후면 RS-232C 포트에 연결하고

반대편은 XGB PLC에 바로 연결할 예정이라 반대편은 전선으로 마감할 예정입니다.

커넥터에서는 흑색선을 2(RX) 흰색을 3(TX) 적색을 5(GND)에 연결 해주었기 때문에

반대편에서는 흑색선을 TX, 흰색선을 RX, 적색선을 SG로 넘버링하여 압착터미널로 마감해주었습니다.

 

(3) 기기연결

1. 암놈 커넥터를 터치스크린의 RS-232C 포트에 연결해줍니다.

2. 나머지 반대편 케이블을 PLC RS232C의 RX,TX,SG에 순차적으로 결선해줍니다.

 

여기까지 하시면 완료 입니다. 물론 시중의 기성품을 구매하셔서 사용하셔도 되지만

현장에서 급하게 필요하실 때, 혹은 내가 만들어보고 싶을 때에는 해당 방법을 참조하시면 좋겠네요!


4. RS232C 케이블 테스트 방법

케이블을 만든 후,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테스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멀티미터를 이용한 테스트 연결 확인: 멀티미터의 도통(Continuity) 기능을 사용하여 케이블이 정확하게 연결되었는지 확인. 단락(Short) 체크: 예상치 못한 핀 간의 단락이 없는지 확인.

(2)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통신 테스트

1. PC에서 "HyperTerminal" 또는 "Tera Term" 실행

2. 포트 설정:

  • 전송 속도: 9600bps (기본)
  • 데이터 비트: 8비트
  • 패리티: 없음(None)
  • 정지 비트: 1비트

3. 데이터 송수신 테스트

  • 특정 문자를 입력하여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확인.

 

RS232C 케이블은 오래되었지만 여전히 많은 산업 및 연구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특정 장비와 맞춤 연결이 필요할 때 직접 제작하는 것이 비용 절감과 최적의 성능을 보장하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RS232C 케이블의 기본 개념부터 핀 배열, 제작 방법, 테스트 방법까지 상세히 설명했습니다. 직접 제작하여 원하는 환경에서 원활한 직렬 통신을 구현해 보세요!

반응형